반응형 한국사156 [오늘의 단어] ep. 52 굴식 돌방 무덤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52번째 주제'로 '굴식 돌방무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굴식 돌방무덤 - 소개 '굴식 돌방무덤'은 '판 모양의 돌을 이용하여 널(관)을 넣는 방을 만든 다음에 방의 한쪽 벽을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를 만드는 무덤 양식'입니다. - 특징 무덤 구조에 입구로 향하는 길이 있어서 그 길에 '벽화가 존재하는 무덤 양식'입니다. 대표적인 벽화가 '사신도'입니다. 무덤 양식은 '고구려(4세기)에서 출발'해 '백제, 가야, 신라(5세기)에 전파'가 되어서 '통일 신라 때에 가장 유행'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4. 24. [오늘의 단어] ep. 51 돌무지 무덤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51번째 주제'로 '돌무지무덤'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돌무지무덤 - 소개 '돌무지무덤'은 '시신이나 시신은 넣은 돌널 위에 흙을 덮지 않고 돌을 쌓아 올린 무덤 양식'입니다. - 특징 돌무지무덤은 '신석기시대'에서부터 '삼국시대인 고구려와 백제 초기'에 나타나는 '무덤의 형식'입니다. 무덤의 구조는 '돌을 겹겹이 쌓아 올려서 만드는 구조'입니다. 돌무지무덤의 구조는 '도굴이 어려운 구조'입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유물 출토가 많은 편'입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4. 23. [오늘의 단어] ep. 50 금속 기술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50번째 주제'로 '금속 기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금속 기술 - 소개 삼국시대에 삼국은 '청동기, 철기 시대의 기술을 계승'해서 '삼국시대의 금속 기술을 발전' 시켰습니다. - 특징 '고구려'는 '철 생산력이 풍부'했습니다. 그래서 다른 삼국과 다르게 '빠르게 금속 기술이 발전'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철제 무기 및 도구 제작, 수레바퀴 제작'을 했습니다. '백제'는 '정교한 공예 기술이 발달' 했습니다. 백제는 공예 기술을 바탕으로 '칠지도, 금동 대향로'를 만들었습니다. '신라'는 '금세공 기술이 발달' 했습니다. 세공 기술을 활용해서 '순금 금관 및 도금 금관'을 제작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 2021. 4. 22. [오늘의 단어] ep. 49 목판 인쇄술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49번째 주제'로 '목판 인쇄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목판 인쇄술 - 소개 '목판 인쇄술'은 '글자를 나무판 표면에 새긴 후 잉크를 묻혀 찍어내는 기술'입니다. 목판 인쇄술은 '책을 대량으로 만들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글자를 일일이 새겨야 한다'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특징 목판 인쇄술에 대한 대표적인 유물은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입니다.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세계 최초의 목판 인쇄물'입니다. '705년경'으로 '제작 시기가 추정'이 되는 유물입니다. '1966년'에 '불국사 석가탑 해체 작업 중 사리함에서 발견'이 되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4. 21. [오늘의 단어] ep. 48 고대의 천문학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48번째 주제'로 '고대의 천문학'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고대의 천문학 - 소개 '천문학'은 '우주 전체에 관한 연구 및 우주 안에 있는 여러 천체에 관한 연구를 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입니다. 하지만 '고대의 천문학'은 '단순하게 별을 관측하는 학문이 아닙니다.' 고대에는 천문학이 '농경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 특징 천문학이 '왕권과 관련되어 있는 일'이기에 '다양한 형태의 기록'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고구려의 천문도와 고분벽화 별자리, 신라의 첨성대'가 있습니다. 그리고 '삼국사기에 관측 기록 (일월식, 혜성의 출현, 기상이변)'이 있습니다. 삼국시대에 천문학이 왕권과 관련된 중요한 학문이어서 '천문 관측 관련 관즉의 존재'했습니다. 관직의 이름은 '.. 2021. 4. 20. [오늘의 단어] ep. 46 선종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46번째 주제'로 '선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선종 - 소개 '선종'은 '불교의 종파'입니다. 선종은 주로 '실천 수행을 중요시하는 불교 종파'입니다. - 특징 선종은 교종이 보다 한반도에 늦게 전파가 되었습니다. 선종의 전파 시기는 '통일 신라 전후'에 전파가 됩니다. 그리고 '통일 신라 말기'에 '유행의 정점'에 달하게 됩니다. 선종은 통일 신라 말기에 '지방 호족 세력들과 결탁'을 합니다. 결탁을 해서 '각 지방에 근거지를 마련'했습니다. 대표적인 근거지는 '9 산 선문'입니다. 그리고 선종은 '지방 문화의 역량을 증대'시키고 '고려 사회 건설의 사상적인 바탕을 마련'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4. 13. [오늘의 단어] ep. 45 불교 사상의 발달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45번째 주제'로 '불교 사상의 발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불교 사상의 발달 - 소개 삼국 시대에는 불교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삼국이 '중앙 집권 체제'로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불교를 수용'했기 때문입니다. '통일신라시대는 불교가 사상적으로 발달하게 되는 시대'입니다. 특히 '원효(617년 ~ 686년), 의상(625년 ~ 702년), 혜초(704년 ~ 787년)'을 통해서 '불교가 사상적으로 발달'을 합니다. - 특징 먼저 '원효 대사'는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던 불교를 '민중들에게 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아미타 신앙'을 통해 '불교를 대중화'해서 백성들이 알기 쉽도록 만들었습니다. '의상 대사'는 '화엄사상을 적립'하고, '부석사를 건립.. 2021. 4. 11. [오늘의 단어] ep. 44 삼국의 도교 안녕하세요.'오늘의 단어 44번째 주제'로'삼국의 도교'에 대해서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삼국의 도교 - 소개'도교'는 '신선사상을 기반으로 노장사상·유교·불교와 여러 신앙 요소들을 받아들여형성된 종교'입니다.특히 삼국의 도교는 '산천 숭배 사상'과 '신선 사상'이 '결합'을 했습니다.특히 삼국의 도교는 '귀족 사회 중심으로 발달'을 했습니다. - 특징삼국 하면 불교 중심의 문화가 먼저 떠오르지만도교에 관련된 유물도 많이 있습니다.대표적으로 '백제의 산수무늬 벽돌'과 '백제 금동대향로'가 있습니다. 그리고 '고구려의 사신도'가 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4. 10. [오늘의 인물] ep. 9 재상의 나라를 꿈꾼 정도전 1편 안녕하세요. '오늘의 인물 8번째 주제'로 '재상의 나라를 꿈꾼 정도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재상의 나라를 꿈꾼 정도전 - 소개 '정도전'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 겸 학자'입니다. 정도전은 고려 왕조를 붕괴시키고 성리학 국가인 '조선의 실질적인 설계자'입니다. - 생애 1342년 (고려 충혜왕 복위 3년) ~ 1398년 10월 26일 (음력 8월 26일, 태조 7년) 정도전은 '1342년 경상도 봉화군 (현.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출생'을 했습니다. '1398년 10월 6일 한성부 송연방 남은 사저 (현. 서울 종로구 한국일보 사옥 주변)'에서 '사망'을 했습니다. - 이칭 정도전은 '자'는 '종지', '호'는 '삼봉', '시호'는 '문헌'입니다. - 삶 정도전은 '1360년(공민왕.. 2021. 4. 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