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8

[오늘의 단어] ep. 105 정동행성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05번째 주제'로 '정동행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정동행성 - 소개 '정동행성'은 '고려 후기에 원나라가 고려에 두었던 관청'입니다. 처음에는 '일본 정벌을 위해서 설치'했지만 나중에는 '고려 내정 간섭에 이용'되었습니다. '1280(충렬왕 6)년'에 '일본 원정을 위해서 설치'되었다가 '일본 원정의 실패로 폐지'되었습니다. 그 후 '몇 차례 부활해 기능을 유지'하다가 '1356(공민왕 5)년'에 '폐지'되었습니다. - 특징 초기에는 일본 원정을 위해 설치가 되었지만 '1299(충렬왕 25)년'에 '한희유 사건을 계기'로 '고려 내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했습니다. 정동행성은 원나라 말까지 '명의상 엄연한 관서로 존속'했습니다. 정동행성의 승상은 '고려왕이 겸임'하고 .. 2022. 1. 5.
[오늘의 단어] ep. 104 전민변정도감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04번째 주제'로 '전민변정도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전민변정도감 - 소개 '전민변정도감'은 '고려 후기 권세가에게 점탈 된 토지나 농민을 되찾아 바로잡기 위해 설치된 임시 기구'입니다. '1296(고려 원종 10)년'에 '설치'되었고 '1388(고려 우왕 14)년' 이후에 '폐지'되었습니다. - 특징 전민변정도감은 '3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습니다. '1번째 목적'은 '권신이었다가 실각한 사람이 불법으로 점탈 한 토지나 농민을 빼앗기 위해서'입니다. 이 경우는 '1269, 1288, 1381, 1388년'에 '시행'되었습니다. '2번째 목적'은 '노비법의 적용이 불합리해 이를 정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이 경우는 '1301년'에 '시행'되었습니다. '3번.. 2021. 12. 25.
[오늘의 단어] ep. 103 탐라총관부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03번째 주제'로 '탐라통관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탐라총관부 - 소개 '탐라총관부'는 '고려 충렬왕 때 원나라가 탐라(현 제주도)에 설치한 총관부'입니다. '1275(고려 충렬왕 1)년 전에 설립이 되었다고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원나라가 1275년에 탐라국 다루가치를 임명'했습니다. 이후 '1301(고려 충렬왕 26)년'에 '탐라 군민 만호부로 개편'이 되었다가 이후 '1356(고려 공민왕 5)년'에 '폐지'가 됩니다. - 특징 탐라총관부가 설치된 제주도는 '원나라의 전략적 요충지'였습니다. 그 이유는 원나라가 제주도를 '남송 또는 일본의 전초 기지로 주목'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삼별초 진압 이후 제주도에 설립을 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수의 '.. 2021. 12. 24.
[직소 퍼즐] 빨강머리 앤 108PCS mini 해변 안녕하세요. 이제는 일상 글도 쓰기 위해서 이 글을 쓰게 되었네요. 오늘은 '직소 퍼즐 빨강머리 앤 108 PCS mini 해변'입니다. 저는 11번가에서 구매를 했습니다. 개인적으로 퍼즐을 좋아해서요. 이제는 퍼즐을 많이 만들려고요. 그리고 글도 많이 쓸려고요. 서론이 길어졌네요. 마지막에 구매링크를 달아두겠습니다. 직소 퍼즐은 일반 퍼즐과 다르더라고요. 일반 퍼즐은 퍼즐판이 있지만 직소 퍼즐은 퍼즐판이 없어요. 그래서 액자도 구입해야하고 그리고 유약도 사야 해요. 유약은 들어 있는 직소 퍼즐도 있는데 저처럼 작은 사이즈는 유약이 없어요ㅠㅠ. 그래서 유약도 따로 구매를 했어요. 오늘 것은 108 PCS라서 직소 퍼즐 중에는 작은 사이즈에요. 작은 플라스틱 상자에 지퍼팩으로 퍼즐 조각이 포장이 되어있더라.. 2021. 12. 23.
[오늘의 단어] ep. 102 동녕부(동녕총관부)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02번째 주제'로 '동녕부(동녕총관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동녕부 - 소개 '동녕부'는 '고려시대의 원 간섭기에 원나라가 서경(현 평양)에 설치한 통치 기관'입니다. '1270(고려 원종 11)년'에 '설치'되었고 '1290(고려 충렬왕 16)년'에 '고려에 반환'되었습니다. - 특징 '1269(고려 원종 11)년'에 '서북 병마사의 기관 최탄이 난을 일으켰습니다.' 그는 난을 일으키면서 '서경 및 북계의 54성'과 '자비령(황해도 서흥군에 있는 고개) 이북 서해도의 6성'을 가지고 '원나라에 투항'합니다. 그러자 원나라의 세조가 이때를 놓치지 않고 '1270(고려 원종 11)년'에 자비령을 경계로 그 이북지역을 '원나라의 영토로 편입'시킵니다. 그리고 '동녕부를.. 2021. 12. 22.
[오늘의 단어] ep. 101 쌍성총관부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01번째 주제'로 '쌍성총관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쌍성총관부 - 소개 '쌍성총관부'는 '고려시대에 원나라가 화주(현 함경남도 영흥) 이북을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부'입니다. '1258(고려 고종 45)년에 설치'되었고 '1356(고려 공민왕 5)년에 폐지'되어 '고려 영토로 다시 편입'되었습니다. - 특징 쌍성총관부가 있던 화주 지방은 '고려 정부의 통치력이 약한 지방'이었습니다. 그래서 '1258(고종 45)년'에 있었던 '몽고와 전쟁 중 조휘와 탁정이 고려 지방관을 살해 후 몽고에 항복'했습니다. 그러자 몽고는 화주 지역에 '총관부를 설치'하고 '조휘를 총관, 탁정을 천호에 임명'했습니다. 이후 조휘와 탁정 일족이 돌아가면서 총관과 천호를 세습했습니다.. 2021. 11. 25.
[오늘의 인물] ep. 15 이지란 안녕하세요. '오늘의 인물 15번째 주제'로 '이지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이지란 - 소개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입니다. '고려 공민왕 때'에 부하들을 이끌고 '여진에서 고려로 귀화한 인물'입니다. 그리고 이성계를 도와서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운 1등 공신'입니다. - 이칭 이자란의 이칭은 '자는 식형, 시호는 양렬공'입니다. 분류 이칭 자 식형 시호 양렬공 이칭 정리 표 (시호. 왕이나 사대부들이 죽은 뒤에 그 공덕을 찬양하여 추증하는 호) - 생애 이지란은 '1331년 원 쌍성총관부 삼살 건주 여진 거촌에서 출생'했습니다. '1402(태종 2)년'에 '조선 함경도 함흥부에서 사망'합니다. - 삶 '1371(공민왕 20)년'에 부하들을 이끌고 '고려에 귀화'해 '북청에.. 2021. 11. 14.
[오늘의 사건] ep. 15 기묘사화 1편 안녕하세요. '오늘의 사건 15번째 주제'로 '기묘사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1편은 '소개부터 계기까지'입니다. 소개 - 소개 '기묘사화'는 '1519(중종 14)년 11월'에 '조광조, 김정, 김식 등의 신진 사류가 남곤, 심경, 홍경주 등의 훈구 재상들에게 화를 입은 사건'입니다. - 날짜 기묘사화는 '1519(중종 14)년 11월'입니다 - 관련 인물 기묘사화에 중심인물들은 '조광조, 남곤, 심정, 홍경주'입니다. - 계기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을 폐하고 중종이 즉위'하면서 '연산군의 악정 개혁과 유교적 질서 회복'을 위해 '신진 사류들을 등용'했습니다. 이때 '조광조 등의 신진 사류들이 두각'을 나타내었습니다. '조광조'는 '1515(중종 10)년'에 '성균관 유생 200인의 추천으로 등.. 2021. 11. 6.
[오늘의 인물] ep. 14 조준 안녕하세요. '오늘의 인물 14번째 주제'로 '조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조준 - 소개 '조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조선의 개국 공신이자 이방원을 왕으로 옹립한 신하'입니다. - 이칭 조준의 이칭은 '자는 명중, 호는 우재와 송당, 시호는 문충'입니다. 구분 이칭 자 명중 호 우재와 송당 시호 문충 이칭을 정리한 표 (시호. 왕이나 사대부들이 죽은 뒤에 그 공덕을 찬양하여 추증하는 호) - 생애 조준은 '1346(충목왕 2, 고려 제29대 왕)년'에 '평양에서 출생'했고, '1405(태종 5, 조선 제 3대왕)년'에 '사망'했습니다. - 삶 '1374(우왕 1)년'에 '문과에 급제'합니다. 그리고 '좌우위호군 겸 동례부사에 임명'이 됩니다. 이후 다시 '전법판서에 임명'이 됩.. 2021.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