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8 [오늘의 단어] ep. 93 교정도감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93번째 주제'로 '교정도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교정도감 - 소개 '교정도감'은 '고려시대 무신 집권기의 최고 정치 기관'입니다. 일명 '교정소'로 '최충헌이 설치'했습니다. '1209(고려 희종 5)년'에 '설치'되었고 '1270(고려 원종 11)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 특징 교정도감은 처음부터 정치기구는 아니였습니다. 교정도감은 최충헌이 권력자가 되고 자신에 대한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자 '암살 미수 사건 관련자를 처벌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입니다. 이후 계속해서 존속하여 '반대 세력 제거에 이용'되었습니다. 그러다가 '무신 정권의 권력자가 상주하는 기구'가 되자 자연스럽게 '중방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교정도감에는 '교정 별감'이라는 '관직이.. 2021. 9. 29. [오늘의 단어] ep. 92 중방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92번째 주제'로 '중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중방 - 소개 '중방'은 '고려 시대 최고위 무신 합좌 기구'입니다. '2군 6위의 지휘관인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석'하는 기구입니다. 설치 연도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군사제도인 2군 6위가 활용된 고려 현종 무렵으로 추측'이 됩니다. (기록상 1167(고려 의종 17)년에 첫 등장) - 특징 고려 전기에는 무신들의 힘이 약했습니다. 그 이유는 '고려의 문치주이 표방'에 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중방도 주로 '중앙군의 도성 수비에 대한 회의'만 했습니다. 하지만 '무신정변(고려 의종 24, 1170년) 이후에는 힘이 강해졌습니다.' 그 이유는 '정변 초기 권력자들이 지속적으로 교체'가 되면서 '독자적인 기구를.. 2021. 9. 28. [오늘의 단어] ep. 91 봉사 10조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91번째 주제'로 '봉사 10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봉사 10조 - 소개 '봉사 10조'는 '최충헌이 명종(고려, 19대)에게 올린 10가지 개혁안'입니다. '1196(고려 명종 26)년'에 올렸습니다. - 특징 봉사 10조는 '최충헌이 권력을 장악한 후 올린 개혁안'입니다. 개혁안의 내용은 '폐정의 시정과 왕의 반성 촉구'입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최충헌의 정치적 세력 기반 형성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사회를 개혁하는 내용이지만 이후 '최충헌은 개혁 내용을 이행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횡포가 더 심해졌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9. 27. [오늘의 단어] ep. 90 무신정권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90번째 주제'로 '무신정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무신정권 - 소개 '무신정권'은 '고려시대에 무인들이 100년간 정권을 장악한 시기'입니다. 기간은 '1170(고려 명종 1)년'부터 '1270(고려 원종 11)년'까지 '약 100년'입니다. - 특징 무신정권은 '3가지 시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시기는 '성립기, 확립기, 붕괴기'입니다. 시기 집권자 성립기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확립기 최충헌 및 4대 최씨 붕괴기 이후 인물들 각 시기의 집권자들 '무신정권의 성립 배경도 3가지' 존재합니다. 첫 번째 이유는 '고려 전기 사회의 무신 중심의 권력 및 무신 차별'이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무신들의 월급인 군인전 지급이 안 된 것'입니다. 세 번째 이.. 2021. 9. 25. [오늘의 단어] ep. 89 공음전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9번째 주제'로 '공음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공음전 - 소개 '공음전'은 '고려 시대의 수취 제도'입니다. '5품 이상의 고위 관리에게 지급한 전시과 항목 중 한가지'입니다. 공음전이 처음으로 '시작된 시기'는 '997(고려 명종 2)년'입니다. 이때 '개국공신인 항의 귀순 성주에게 하사한 것'이'시작'입니다. 그리고 '제도적으로 안정된 시기'는 '1049(고려 문종 3)년'입니다. - 특징 공음전으로 '지급이 되는 토지의 양은 관직에 따라 차별'되었습니다. 관직 전지 시지 1품 25결 15결 2품 22결 12결 3품 20결 10결 4품 17결 8결 5품 15결 5결 (당시 1결 = 약 15447.5m^2) '전시과의 토지는 수조권을 국가에 반납' 해야하지만 '공.. 2021. 9. 13. [오늘의 단어] ep. 88 문벌 귀족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8번째 주제'로 '문벌 귀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문벌 귀족 - 소개 '문벌 귀족'은 '고려 전기에 고려 지배 계층'입니다. '문벌 귀족의 구성'은 신라 말기에 차별을 받은 '6두품', 지방의 '호족', 그리고 고려의 '개국 공신'입니다. - 특징 문벌 귀족은 조선 시대의 양반과 다르게 '부를 합법적으로 세습한 계층'입니다. '정치적인 제도는 음서'고 '경제적인 제도는 공음전'입니다. 문벌 귀족은 주로 '왕실과 혼인을 통해서 권력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문벌 귀족의 지배도 무신들의 '무신 정변으로 끝'나게 됩니다. https://chlwlsrl30332.tistory.com/122 [오늘의 단어] ep. 87 음서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7번째 주제'로 '음.. 2021. 9. 11. [오늘의 단어] ep. 87 음서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7번째 주제'로 '음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음서 - 소개 '음서'는 '고려 시대 관리 선발 제도 중에 조상의 음덕에 따라 그 자손을 관리로 선발하는 제도'입니다. '997(고려 목종 즉위)년'에 '설치'되었습니다. - 특징 제도의 실질적인 내용은 '5품 이상의 관리들의 아들에게 관직을 주는 제도'입니다. 관직을 '합법적으로 세습이 가능하게 만든 제도'입니다. 음서가 상속이 되는 대상자는 '장자(차자, 장손도 가능)'입니다. '나이의 제한'이 '만 18세'로 있지만 대부분 '만 15세 전후로 등용'이 되었습니다. 고려시대 조정 내부에서 '음서 출신자들의 진급에 차별이 없었습니다.' 대부분의 관리들이 '5품 이상 승진'하고, '50 ~ 60%가 재상에 진출'했습니다... 2021. 9. 5. [오늘의 단어] ep. 86 주진군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6번째 주제'로 '주진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주진군 - 소개 '주진군'은 '고려 시대 지방 군 조직'입니다. 조직 시기는 '남도 지방군인 주현군과 비슷한 때인 고려 성종 때 조직화'되었습니다. - 특징 다른 지방군인 주현군과 다르게 '특수한 행정구역인 양계에 설치'되었습니다. 규모는 '주현군보다 병종이 다양'하고 '병력수도 더 많았습니다.' 총사령관은 '병마사'로 항상 주둔하고 있는 '상비군'이었습니다. 주진군도 주현군과 비슷하게 '몽고와 장기간 전쟁으로 붕괴'되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9. 1. [오늘의 단어] ep. 85 주현군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5번째 주제'로 '주현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주현군 - 소개 '주현군'은 '고려 전기의 지방 군 조직'입니다. 주현군은 '호족들의 광군'과 '중앙에서 파견된 진수군'이 '결합한 것이 시초'입니다. 그리고 '군대 형태로 조직화 된 시점'은 '1018(고려 현종 9)년'입니다. - 특징 고려의 군사 제도이지만 다른 제도들과 비슷하게 '당의 제도(부병제)를 모방한 제도'입니다. 주현군은 '보승군 + 정용군 + 일품군 등'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중 '보승군과 정용군은 전투 부대 성격'을 띠고 있었고, '일품군은 일종의 노동 부대'입니다. 주현군의 주둔 지역은 '남방 5도와 경기도'였습니다. 병력의 규모는 '고려 정종때에 약 30만 명'이었습니다. 이후 '몽고와의 장기.. 2021. 8. 30.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