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92번째 주제'로
'중방'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중방
- 소개
'중방'은 '고려 시대 최고위 무신
합좌 기구'입니다.
'2군 6위의 지휘관인 상장군'과
'대장군'이 '참석'하는 기구입니다.
설치 연도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군사제도인 2군 6위가 활용된
고려 현종 무렵으로 추측'이 됩니다.
(기록상 1167(고려 의종 17)년에 첫 등장)
- 특징
고려 전기에는 무신들의 힘이 약했습니다.
그 이유는 '고려의 문치주이 표방'에 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중방도 주로
'중앙군의 도성 수비에 대한
회의'만 했습니다.
하지만 '무신정변(고려 의종 24, 1170년)
이후에는 힘이 강해졌습니다.'
그 이유는 '정변 초기 권력자들이
지속적으로 교체'가 되면서
'독자적인 기구를
마련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기존 기구인 '중방이 유지가 되면서
힘이 강해졌습니다.'
하지만 최 씨 무신정권의 시작인
'최충헌의 집권' 이후
'독자적인 기구 교정도감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러자 자연스럽게
'중방이 쇠퇴'하게 되었습니다.
https://chlwlsrl30332.tistory.com/125
[오늘의 단어] ep. 90 무신정권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90번째 주제'로 '무신정권'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무신정권 - 소개 '무신정권'은 '고려시대에 무인들이 100년간 정권을 장악한 시기'입니다. 기간은 '1170(고려
chlwlsrl30332.tistory.com
★★↑↑ 무신정권 관련 글 ↑↑★★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역사 이야기 > 오늘의 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단어] ep. 94 정방 (0) | 2021.09.30 |
---|---|
[오늘의 단어] ep. 93 교정도감 (0) | 2021.09.29 |
[오늘의 단어] ep. 91 봉사 10조 (0) | 2021.09.27 |
[오늘의 단어] ep. 90 무신정권 (0) | 2021.09.25 |
[오늘의 단어] ep. 89 공음전 (0) | 2021.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