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18 [오늘의 단어] ep. 68 사심관 제도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68번째 주제'로 '사심관 제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사심관 제도 - 소개 '사심관 제도'는 '고려시대에 지방에 연고가 있는 고관에게 자기 고장을 다스리도록 임명한 특수 관직'입니다. 사심관 제도의 시작은 '935(고려, 태조 18)년'에 '신라 경순왕이 항복'을 하자 '그를 경주(경상도) 사심관으로 임명'한 것이 '이 제도의 시작'입니다. - 특징 사심관 제도는 '왕권 강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나면 '그 지역의 사심관도 처벌'을 받는 '연대책임'이 있습니다. 연대책임으로 '지방 새력을 약화'시켰습니다. 사심관 제도는 '기인 제도와 함께 지방관을 파견하지 못한 상황에서 중앙정부가 지방을 통제하는 중요 수단'입니다. 더 알고 싶은 내.. 2021. 6. 8. [오늘의 사건] ep. 11 무오사화 1편 안녕하세요. '오늘의 사건 11번째 주제'로 '무오사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1편은 '소개부터 계기까지' 이야기하겠습니다. 무오사화 - 소개 '무호사화'는 '1498(연산군 4)년에 김일손 등 신진사류(=사림)들이 유지광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들에게 화를 입은 사건'입니다. - 날짜 무오사화는 '1498(연산군 4)년'에 일어났습니다. - 구성인물 무오사화는 '김일손 등의 사림파'와 '유지광을 중심으로한 훈구파'입니다. - 계기 무오사화의 계기는 '성종이 훈구파를 견하기 위해서 사림을 중앙에 등용을 한게 시작'입니다. 이때에 '길재의 학통을 이어받은 영남 사림파인 김종직이 중용'이 되었습니다. 중앙에 진출한 사림들이 '삼사를 장악'하고 '삼사를 이용해서 훈구파들을 견제'했습니다. 날이 갈 수록 .. 2021. 6. 7. [오늘의 단어] ep. 67 상경성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67번째 주제'로 '상경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상경성 - 소개 '상경성'은 '발해의 수도로 행정구역인 5경 중에 하나'였습니다. '발해의 멸망 직전의 수도'였습니다. - 특징 상경성은 '중국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닝안시'에 있습니다. 상경성 위치 - 출처. 구글 지도 상경성은 '문왕이 756년 초 도읍으로 지정'했습니다. 하지만 '780년 ~ 793년'에 '동경으로 천도'했습니다. 다시 '동경에서 상경성으로 천도'를 하고 '926년 멸망당하기 전까지 수도'였습니다. 상경성은 '발해의 계획된 도시'입니다. '당의 장안성을 모티브'로 만들었습니다. 상경성 성터에서 '온돈시설이 발견'이 되었습니다. 온돌은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는 유적입니.. 2021. 6. 6. [오늘의 단어] ep. 66 성덕대왕 신종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66번째 주제'로 '성덕대왕 신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성덕대왕 신종 - 소개 '성덕대왕 신종'은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 경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종'입니다. 선덕대왕 신종 위치 - 출처. 구글 지도 '종이 제작된 이유'는 '신라 35대 경덕왕이 아버지인 신라 33대 성덕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경덕왕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사망'했습니다. 종은 '그 아들인 신라 36대 혜공왕 때 완성'이 되었습니다. 완성 시기는 '771(혜공왕 7)년' 입니다. - 특징 성덕대왕 신종은 '국보 제29호'입니다. '지정날짜'는 '1962년 12월 20일'입니다. 크기는 '높이 3.75m'이고 '종의 입 지름이 2.27m, 두께 11~25cm, 무게 18.9.. 2021. 6. 2. [오늘의 단어] ep. 65 무열왕릉비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65번째 주제'로 '무열 왕릉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무열 왕릉비 - 소개 '무열 왕릉비'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통일신라 초기의 화강석 비석'입니다. 무열왕릉비 위치 - 출처. 구글 지도 '제작시기'는 무열왕이 승하한 '661년'입니다. - 특징 무열 왕릉비는 '국보 제25호'입니다. '지정날짜'는 '1962년 12월 20일'입니다. 무열 왕릉비의 '크기'는 '높이 약 2.1m'입니다. 무열왕릉비의 받침돌의 모양이 '거북 모양'입니다. 이 거북 모양은 '무열 왕릉비가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비석'이라는 것을 알게 해 줍니다. 하지만 당나라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창성이 존재하는 비석'입니다. 독창성은 '비의 조각 수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무열 왕릉비는 '사실.. 2021. 6. 1. [오늘의 단어] ep. 64 분황사탑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64번째 주제'로 '분황사탑'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분황사탑 - 소개 '분황사탑'은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로 분황사에 있는 신라시대 불탑'입니다. 분황사탑 위치 - 출처. 구글 지도 '제작시기'는 '634(선덕여왕 3)년으로 추정'이 됩니다. - 특징 분황사탑은 '국보 제30호'로 '1962년 12월 20일'에 '지정'되었습니다. 크기는 현재를 기준으로 하면 '높이 9.3m'이고, '기단의 한 변의 길이는 약 13m, 기단의 높이는 1.06m'입니다. 기록에 따른 '석탑의 최대 추정 높이'는 '41.6m(7층 설), 48.5m(9층 설)'입니다. 분황사탑은 '모전석탑의 종류에 해당하는 탑'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모전석탑'은 '돌을 가공해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전탑과 .. 2021. 5. 20. [오늘의 단어] ep. 63 황룡사 9층 목탑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63번째 주제'로 '황룡사 9층 목탑'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황룡사 9층 목탑 - 소개 '황룡사 9층 목탑'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던 신라시대 목탑'입니다. 황룡사 9층 목탑 터 위치 - 출처. 구글 지도 '제작시기'는 '643(선덕여왕 12)년과 645(선덕여왕 14)년으로 추정'이 됩니다. - 특징 황룡사 9층 목탑의 크기는 '한 변이 22.2m'이고, '면적은 150평', '높이가 80m'로 '추정'이 됩니다. 황룡사 9층 석탑의 건조 년도에 대해서 '2가지 설'이 있습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643년에 당나라 유학 후 귀국한 자장의 요청으로 건조'가 되었다고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다른 기록인 '신라 황룡사 찰주 본기'에서는 '645년 .. 2021. 5. 19. [오늘의 단어] ep. 62 석굴암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62번째 주제'로 '석굴암'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석굴암 - 소개 '석굴암'은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 동쪽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암자'입니다. 석굴암 위치 - 출처. 구글 지도 '제작시기'는 '경덕왕 10(751년)년으로 추정'이 됩니다. - 특징 석굴암은 '국보 제24호'로 지정날짜는 '1962년 12월 20일'입니다. 석굴암은 '원형 굴'로 '너비가 약 6.7m(좌우), 약 6.6m(전후)'이고, '입구의 넓이는 약 3.35m'입니다. 석굴암은 '화강암의 자연석을 다듬어 인공적으로 축조한 석굴 사찰'입니다. 인도와 중국 등의 '천연의 암벽을 뚫고 조성한 천연 석굴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석굴암 내부의 불상들은 배치'는 '수학적으로 배치'가 되어있습니다. .. 2021. 5. 18. [오늘의 인물] ep. 10 재상의 나라를 꿈꾼 정도전 2편 안녕하세요. '오늘의 인물 10번째 주제'로 '재상의 나라를 꿈꾼 정도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2편은 정도전의 업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정도전 - 업적 정도전은 '조선을 만든 사람'이라고 이야기를 할 정도로 '조선의 문을 열고', '조선의 많은 부분을 만들었습니다.' '행정 분야'에서는 '경복궁의 위치 및 이름을 제정'했습니다. '법 분야'에서는 ', 을 저술'했습니다. 위의 저서는 조선의 법전인 '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군사 분야'에서는 '국가의 병권을 담당'했습니다. 그리고 병서인 ', 를 지어 훈련에 활용'했습니다. '음악 분야'에서는 악사 ', 을 지어 조선 궁중 문학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교육 분야'에서는 다음 왕인 '세자를 교육'했습니다. 더 알고 싶은.. 2021. 5. 17.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