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 이야기/오늘의 단어119

[오늘의 단어] ep. 20 통일 신라의 군사제도 9서당 10정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20번째 주제'로 '통일 신라의 군사제도 9서당 10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9서당 10정 - 소개 통일 신라의 군사제도인 '9서당 10정'은 모두 '신문왕(제 31대왕)' 때에 완성이 된 제도들입니다. '9서당'은 '통일 신라의 중앙군'입니다. '687년(신문왕 7년)'에 완성이 된 제도입니다. '10정'은 '통일 신라의 지방군'입니다. '685년(신문왕 5년)'에 완성이 된 제도입니다. - 특징 군사조직인 9서당 10정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먼저 '9서당'은 중앙군이지만 삼국을 통일한 후 '신라의 민족 융합 정책의 도구'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9서당의 구성 인원은 '신라 + 백제 + 고구려 + 말갈'으로 구성이 되었습니다. '10정'은 지방군으로 통일 .. 2021. 2. 19.
[오늘의 단어] ep. 19 상수리 제도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9번째 주제'로 '상수리 제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상수리 제도 - 소개 '상수리 제도'는 '통일 신라 시대 때에 지방 유력 세력들을 신라의 수도인 금성(경주)으로 와서 살게 하는 제도'입니다. 통일 신라 시대의 이 제도는 훗날 고려 시대의 '기인 제도'로 계승이 됩니다. - 특징 상수리 제도가 시행이 된 이유는 '왕권의 강화를 목적'으로 두고 있습니다. 지방의 세력을 약하게 만들어서 '중앙 통치 체제를 견고'히 만들려고 했습니다. 지방에서 왕에 대한 반기를 들지 못하고 왕의 명령을 잘 듣게 만들기 위해서 '인질을 만들어서 중앙에서 지방 세력을 통제'했습니다. 2021. 2. 16.
[오늘의 단어] ep. 18 9주 5소경 안녕하세요.'오늘의 단어 18번째 주제'로'9주 5 소경'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9주 5 소경 - 소개'9주 5 소경''통일 신라 시대의 지방 행정 체제'입니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지방 행정 체체를'지방은 9주'로 나누고,각 지역에 5개의'특수행정 구역인 5 소경' 을 만들었습니다.9주는 '한주, 삭주, 명주, 웅주, 전주, 무주, 상주, 강주, 양주'입니다.5 소경은 '중원경(청주), 금관경(김해), 북원경(원주), 남원경(남원), 서원경(청주)'입니다. - 특징9주 5 소경이라는 지방 행정 체제를 만든 이유는'통일 후 단일 왕국을 이룬 신라의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를 목적으로설치가 되었습니다.9주의 설치 목적은'통일 후 단일 민족의식 형성'을 위해서각 '옛 삼국의 영토에 3개씩 3국이기에 .. 2021. 2. 14.
[오늘의 단어] ep. 17 남북국 시대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7번째 주제'로 '남북국 시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남북국 시대 - 소개 '남북국 시대'는 '한반도의 남쪽에는 통일 신라가, 북쪽에는 발해가 양립하던 시대'입니다. '발해'의 영토는 '한반도 북쪽 일부 지방과 만주와 연해주 지역'이고, '통일 신라'의 영토는 '한반도의 북쪽 일부 지방과 남쪽 지방'입니다. - 시기 남북국 시대의 시기는 '698년 ~ 926년'까지 입니다. 남북국 시대의 기간을 통일 신라와 발해의 왕들에 대입을 해보면 신라는 '효성왕(제34대 왕) 7년(698년)부터 경애왕(제55대 왕) 3년(926년)'입니다. 발해는 '태조 원년(698년)부터 애왕 20년(926년)'입니다. 이 남북국 시대의 총기간은 '228년'입니다. - 특징 삼국 시대의 고구.. 2021. 2. 13.
[오늘의 단어] ep. 16 신라의 삼국 통일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6번째 주제'로 '신라의 삼국 통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삼국 통일 - 소개 '삼국 통일'은 '신라가 고구려, 백제와 함께한 삼국 시대를 끝내고 하나의 단일 국가를 이룬 것'을 이야기를 합니다. 시기상으로 신라의 삼국 통일을 나열을 해 보면 먼저 '나.당 연합이 구성'이 되고,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을 해서 멸망(660년)'을 시킴니다. 백제를 멸망을 시킨 나.당 연합군은 한반도 북쪽에 위치한 나라인 '고구려를 공격을 해서 멸망(668년)'을 시킴니다. 이후 당나라가 한반도의 완전 지배의 욕구를 들어내면서 '평양에 안동 도호부', '공주에 웅진 도독부', '경주에 계림 도호부'를 설치를 합니다. 이후 신라와 당나라의 전쟁이 '나 당 전쟁'이 발발을 하게 됩니.. 2021. 2. 12.
[오늘의 단어] ep. 15 신라의 골품제 안녕하세요. 오늘으 단어 15번째 주제로 '신라의 골품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골품제 - 소개 '골품제'는 '신라 시대 때의 사람들의 신분을 형통에 따라서 나눈 제도'입니다. 골품제의 종류는 신라 시대의 왕족들인 '성골'과 '진골', 귀족들은 '6두품', '5두품', '4두품'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평민들도 '3두품', '2두품', '1두품'이라는 계층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 특징 신라 시대의 신분제도인 골품제는 아주 '폐쇄적인 신분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분 간의 이동이 불가능한 신분 제도 입니다. 특정 인물의 신분이 태어나면서 정해지고 평생 동안 신분의 변함이 없습니다. 그리고 신분에 따라서 올라갈 수 있는 관직이 정해져 있는 신분제입니다. 주로 신라 시대의 왕은 성골.. 2021. 2. 11.
[오늘의 단어] ep. 14 관리들의 등급 관등제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4번째 주제로 '관리들의 등급 관등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관등제 - 소개 '관등제'는 '국가에서 일을 하고 있는 관리나 국가의 벼슬의 등급을 규정짓는 제도'입니다. 예시로는 현재있는 '공무원 제도의 급'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관등제를 정하는 주체는 나라를 다스리는 '왕'입니다. - 특징 관등제를 정하는 이유는 왕이 관리의 등급을 정해서 나라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세력 집단을 왕 아래에 하나로 모아두기 위해서 시행을 했습니다. 왕이 직접 관리들의 상하 관계를 만들어 왕권을 강화해 중앙 집권 체제를 견고하게 만듭니다. 삼국시대의 각 나라별의 관등제는 '고구려의 10여관등(소수림왕)', '백제의 16관등(고이왕)', '신라의 17관등(법흥왕)'이 있습니다. 2021. 2. 10.
[오늘의 단어] ep. 13 귀족 회의(3편) - 화백 회의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3번째 주제로 '귀족 회의(3편) 화백 회의'를 이야기 하겠습니다. 귀족 회의 - 소개 '귀족 회의'는 '삼국 시대나 고려 시대에 귀족들이 모여서 정책을 결정하는 회의'입니다. - 특징 '화백 회의'는 '신라의 귀족들이 모여서 진행하는 회의'입니다. 화백 회의는 '나라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회의'입니다. 회백 회의의 수장은 '상대등'이라는 관직을 가진 신하입니다. 회백 회의의 시작은 경주의 육촌(신라의 기원) 사람들의 회의였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점차 신라의 진골 귀족 이상의 회의가 되었습니다. 중대사에 대한 결정은 '만장일치'로 결정을 했습니다. 만장일치라는 결정 방법으로 씨족 사회의 전통을 알 수 있습니다. 신라도 동일하게 상대등의 힘이 강해지면 왕의 힘이 약해지고, 상대등.. 2021. 2. 9.
[오늘의 단어] ep. 12 귀족 회의(2편) - 정사암 회의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12번째 주제로 '귀족 회의 정사암 회의'로 이야기 하겠습니다. 정사암 회의 - 소개 먼저 귀족 회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귀족 회의'는 '삼국 시대나 고려 시대에 집권층인 귀족들이 모여서 나라의 정책을 결정하는 회의'입니다. 귀족 회의는 '고구려의 제가 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신라의 화백 회의'가 있습니다. - 특징 '정사암 회의'는 '백제의 귀족들의 회의'입니다. 정사암 회의의 주 내용은 '정치 중대사에 대한 논의와 재상을 선출하는 것'입니다. 회의의 이름에 정사암이 들어간 이유는 회의를 사비 근처의 절인 호암사의 정사암에서 했기 때문입니다. 정사암 회의의 시작은 '백제의 사비천도(538년)' 이후에 시작이 되었습니다. 회의의 결정은 다수결로 진행이 되.. 2021.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