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자의 구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종자의 구분
종자를 전분종자와 지방종자로
구분할 때(저장물질 기준)
종자를 구분할 때에는
'전분종자와 지방종자로 구분'을 합니다.
- 전분종자. 벼, 보리, 옥수수, 팥, 강낭콩, 소철
- 지방종자. 무, 참깨, 목화, 유채
(*참고*. 콩과 작물)

지상발아형과 지하발아형
종자를 '지상발아형과 지하발아형으로 구분'을 합니다.
'지상발아형'은
'주로 쌍떡잎식물로 떡잎이 지면 밖으로 나오는
형태'입니다.
(ex. 콩, 소나무)
'지하발아형'은
'주로 외떡잎식물로 떡잎이나 씨방 등은
지하에 남아 있고 유아가 지상으로 나오는
형태'입니다.
(ex. 팥, 완두, 화본과 작물)

배유의 유무에 따른 구분
종자를
'배유종자와 무배유종자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배유종자'는
'벼, 보리, 밀, 옥수수 등의 벼과 종자와
감, 피마자, 양파 등'입니다.
'무배유종자'는
'콩, 팥 등 주로 콩과 식물과 호박, 무 등'입니다.
- 저장양분이 자엽(떡잎)에 저장되어 있고,
배는 유아, 배유, 유근의 세분으로 되어있습니다.
- 콩의 배는 잎 생장점, 줄기, 뿌리의 어린 조직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자격증 > 종자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자 기능사] 종자의 발아(1) (0) | 2023.02.01 |
---|---|
[종자 기능사] 종자의 형태 (0) | 2023.01.31 |
[종자 기능사] 종자의 구조 (1) | 2023.01.25 |
[종자 기능사] 생물학적 종과 종자 (0) | 2023.01.24 |
[종자 기능사] 동질배수체 (0)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