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종자의 구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종자의 구조
배
'배'는 '잎, 줄기, 뿌리 등 주요 기관을 형성할
자엽, 유아, 하배축, 유근, 유조직이
분화되어 있는 것'입니다.

배유(배젖)
'배유(배젖)'은
'배가 발아하기 위한 저장양분 함유
(때로는 없는 것도 있습니다)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배유는 '4가지의 특징'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배유부는 외배유와 내배유로 구분이 되는데,
내배유는 호분층과 전분세포로 나누어지는 것'입니다.
(*참고*. 배젖은 현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부분을 식용으로 하는 것이다.
현미의 껍질에는 단백질과 지방이 많은
호분층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배유에는 양분이 저장되어 있고,
배는 잎, 생장점, 주리, 뿌리 등의
어린 조직이 모두 구비가 되어 있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외배유는 수련과, 석축과, 후추과, 명아주과 같은
일부 속씨식물에서 나타나는
배젖 형태의 조직'입니다.
주로 '종자의 저장물질이 저장되어 있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배유 중의 전질소(Total Nirogen)와
불용성의 단백질이 감소되고
복합물이 배축으로 끊임없이 이동되게 되는데,
배유의 전분은 전분가수화작용으로
말토오스와 글루코오스로 변화되어
배축으로 이동이 되는 것'입니다.


종피
'종피'는 '배와 배유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 배반(胚盤, Scutellum).
화본과 작물 종자의 배의 조직 중에서 발아시에
각종 효소를 분비하여 배유 저장양분을 분해하여
싹이 자랄 때 이용하도록 하는 조직

외형에 나타나는 특수기관
'외형에 나타나는 특수기관'은
'제(臍), 주공(珠孔), 봉선(縫線),
합점(合點), 주병(珠柄)'입니다.
'제(臍)'는
'종자가 배병 또는 태좌에 붙어 있는 곳으로,
위치에 따라 끝, 기부, 뒷면으로 나뉘는 것'입니다.
(*참고*. 제의 위치)
제의 위치 | 식물 |
종자 끝 | 배추, 시금치 |
종자 기부 | 상추, 쑥갓 |
종자 뒷면 | 콩 |
'주공(珠孔)'은
'종자식물의 밑씨의 선단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즉 배주의 한 끝에 있고
줄 같은 모양이 나타난 것'입니다.
'봉선(縫線)'은
'관다발이 종자의 제로 들어갈 때
종피에 들어가는 조직이 줄 같은 모양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합점(合點)'은
'주피와 주심이 합쳐지는 부분
(봉선의 가장 끝에 있는 점)'입니다.
'주병(珠柄)'은
'종자가 성숙되면 배 주위에 남아있는 흔적이
제(臍, 배꼽)가 되는데,
제의 기원이 되는 것'입니다.


작물별 종자의 구성물질의 특징
'화본과(벼과)'는
'식물의 종자는 전분형태의 탄수화물이
저장 양분의 주요한 성분이라는 것'이 특징입니다.
'콩과'는
'식물의 종자에는 단백질 함량이
많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벼'에는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이
밥맛을 결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밀'은
'재배환경이 밀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재배환경에 따라서
밀의 주단백질인 글루텐의 성질에도
영향을 주어 밀가루의 성상(性狀)과
품질을 좌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자격증 > 종자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자 기능사] 종자의 형태 (0) | 2023.01.31 |
---|---|
[종자 기능사] 종자의 구분 (0) | 2023.01.25 |
[종자 기능사] 생물학적 종과 종자 (0) | 2023.01.24 |
[종자 기능사] 동질배수체 (0) | 2023.01.22 |
[종자 기능사] 배낭세포와 배낭형성 (0)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