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 이야기/오늘의 단어119

[오늘의 단어] ep. 83 2군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3번째 주제로 '2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2군 - 소개 '2군'은 '고려 전기의 중앙군 조직'입니다. '2군의 기원'은 '고려 태조' 이래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2군이 '제도로 정비된 시기'는 '고려 현종 때'입니다. - 특징 2군은 '고려 시대 전기 국왕의 친위 부대'입니다. 2군은 '응양군과 용호군'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군의 주 임무는 '고려 국왕의 호위와 고려 궁궐 수비'입니다. 초기 2군은 '직업 군인인 군반 씨족이 다수'였지만 이후 '양반층 자제들이 많이 입속'되었습니다. 규모는 '응양군이 1 영, 용호군이 2 영'으로 '1 영'은 '약 1000명'으로 대략 '약 3000명' 규모입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 2021. 8. 25.
[오늘의 단어] ep. 82 양계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2번째 주제'로 '양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양계 - 소개 '양계'는 '고려 초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설정되어 있던 특수 지방 행정 구역'입니다. '양계의 구성'은 '동계와 북계'입니다. 처음 설치가 된 시기는 '989(고려 성종 8)년'입니다. 이때 '양계에 병마사를 설치하고 군사 관장 구역화'를 했습니다. - 특징 양계의 관할 지역은 '동계'가 '함경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이고 '북계'가 '평안도 지역'입니다. 특이하게 '변방 지역의 토착민을 포섭'하는 '토관제가 실시된 지역'입니다. 토관제를 시행함으로써 '그 지방의 지배와 군사적 방어를 효율적으로 시행'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제가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선정을 해서 글을 써 드립니다. 2021. 8. 11.
[오늘의 단어] ep. 81 5도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1번째 주제'로 '5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5도 - 소개 '5도'는 '고려시대 지방 행정 제도'입니다. '5개의 도로 구성'이 되어있고, 각 도의 이름은 '양광, 전라, 경상, 서해, 교주'입니다. '995(고려 성종 14)년'에 처음으로 '10도로 설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고려 현종 때'에 '5도로 개편'이 되었습니다. - 특징 10도는 '당의 10 도제를 모방해서 설치'를 했습니다. 하지만 당의 10도를 '고려적인 도제로 변경해서 적용'했습니다. 그 전 지방 행정 제도인 '절도사 체제'는 '군사 중심 체제'였습니다. 하지만 '5도와 양계'로 '이원화'한 후에는 '5도는 민사중심, 양계는 군사 중심'으로 '운영'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5도에는 안찰사'가 .. 2021. 8. 3.
[오늘의 단어] ep. 80 식목도감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80번째 주제'로 '식목도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식목도감 - 소개 '식목도감'은 '고려시대에 법제 및 격식 제정에 관한 문제를 회의하던 기구'입니다. 식목도감은 차별화된 '고려의 독자적인 기구'입니다. 기록에서는 '1023(현종 14)년'에 '등장'을 합니다. 하지만 '식목도감이 창설된 시기'는 '고려 성종 말, 고려 현종 초'로 '추정'이 됩니다. - 특징 식목도감은 '정무를 집행하지 않고 단순히 의논만 하는 기구'입니다. 그래서 몽골과 전쟁 과정에서 '도병마사의 기능이 강화'되자 '보조적인 기구로 전락'했습니다. 하지만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개편 후 폐지'되자 '식목도감의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이후 '조선 초까지 기능이 유지'되었다가 '1412(태종 12.. 2021. 7. 23.
[오늘의 단어] ep. 79 도병마사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79번째 주제'로 '도병마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도병마사 -소개 '도병마사'는 '고려시대에 변경(국경 지역)의 군사 문제를 의논하던 기구'입니다. 쉽게 말하면 '국방 회의 기구'입니다. 도병마사의 기원은 '도평 의사회'입니다. 시작은 '989(고려 성종 8)년'에 설치된 '동서 북면 병마사의 판사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러다가 '1015(고려 현종 6)년'에 '도병마사제의 기구가 성립'되었습니다. - 특징 도병마사의 최고직은 '판사'입니다. 이 '판사'는 '중서 문하성의 5재로 구성'이 되었습니다. '사'는 '중추원의 추밀로 구성'이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서 도병마사는 '재추 양부로 충당'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도병마사의 초기 업무는 '군사적인 업무'.. 2021. 7. 21.
[오늘의 단어] ep. 78 어사대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78번째 주제'로 '어사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어사대 - 소개 '어사대'는 '고려 시대에 정치의 잘잘못을 논하고 풍속을 교정, 백관을 규찰, 탄핵하는 일을 맡은 관청'입니다. 고려의 어사대는 '당나라의 어사대를 모방한 기관'입니다. 어사대는 '고려 초에 사헌대로 출발'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995(고려, 성종 14)년'에 '어사대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 특징 어사대의 출발은 당과 송나라의 어사대를 모방해서 만들었지만 '힘은 중국의 어사대보다 강한 기관'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중국과 다르게 감찰어사를 제외한 모든 어사대 관원들이 공동으로 직임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어사대의 관원은 '청요직'으로서 '임무수행을 위한 여러 자격조건을 요구'했습니다. 관원이 되.. 2021. 7. 19.
[오늘의 단어] ep. 77 삼사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77번째 주제'로 '삼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삼사 - 소개 '삼사'는 '고려 시대 화폐와 곡식의 출납, 회계를 담당하는 기구'입니다. '송나라의 삼사를 모방'해서 만든 기구입니다. 고려에 설치된 시기는 '고려 성종 때'입니다. 삼사는 고려 시대 동안 유지가 되어가다가 '1405(태종 5)년'에 '폐지'가 됩니다. - 특징 삼사는 송나라의 삼사를 모방해서 설치한 기구이지만 '송나라의 삼사와 다르게 제한된 권한만 시행'할 수 있었습니다. 고려 시대 삼사는 조선의 삼사와 다르게 '국가의 전곡 출납을 담당한 기구'입니다. 하지만 '고려의 일원적인 최고 재정 기관은 아니였습니다.' 그리고 '고려의 국정 운영 제도'로 '힘도 상대적으로 약했습니다.' 더 알고 싶은 내용이나 주.. 2021. 7. 5.
[오늘의 단어] ep. 76 중추원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76번째 주제'로 '중추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중추원 - 소개 '중추원'은 '고려시대의 왕명, 출납, 궁궐, 숙위, 군국기무 등 정무 담당하던 중앙 관청'입니다. '행정 관청 및 군사 위원회' 또는 '국방 위원회 및 국왕 비서실'입니다. '991(고려, 성종 10)년'에 '북송의 추밀원을 따라 설치'했습니다. - 특징 중추원의 관직은 '추밀과 승선으로 구분'이 됩니다. '추밀'은 '군사 및 군정 위원'으로 '종 2품 ~ 정 3품'입니다. '승선'은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관직'으로 '정 3품'입니다. 중서 문하성의 '재신'에 비해 중추원 '추밀의 힘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하지만 '전시 한정으로 추밀의 권한과 권위가 재신과 대등'해집니다. 중추원의 기능은 '정.. 2021. 7. 1.
[오늘의 단어] ep. 75 상서성 안녕하세요. '오늘의 단어 75번째 주제'로 '상서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상서성 - 소개 '상서성'은 '고려 시대 중앙정치기구 중 하나(행정조직)'로 '정책 집행 기관'입니다. '982(고려, 성종 1)년'에 '당나라의 제도를 채용 후 설치'했고, 이후 '1061(고려, 문종 15)년'에 '관제를 정비'했습니다. - 특징 상서 성은 정책 집행 기관으로 아래에 '6부가 존재'했습니다. 각 부는 '이, 호, 예, 병, 형, 공'이었습니다. 현재 정부 부서와 비교하면 '이부'는 '행정안정부', '호부'는 '기획 재정부', '예부'는 '외교+문체+교육부', '병부'는 '국방부', '형부'는 '법무부', '공부'는 '건설 교통+농림축산 식품부'입니다. 상서 성의 관직은 '명목상 최고 직위인 상서령'이.. 2021. 6. 24.